본문 바로가기
Car & Motor Review/Trend & Story

국산차, 수입차 할 것 없이 국내 자동차 시장엔 승용디젤로 올인?!

by 쭌's 2012. 2. 23.
+ 승용디젤 모델의 라인업 확대에 따른 국내 메이커의 승용디젤 확대는 내일이 아닌 오늘부터 필요할 것으로...
2011년 국내 자동차 시장의 핫 키워드가 '하이브리드' 였다면 2012년 국내 마켓쉐어는 '승용디젤'이 대세가 아닐까? 합니다. 2011년 수입차는 물론 국산차까지 하이브리드를 중심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습니다. 하이브리드라는 단어가 현실적으로 다가오지 않았던 때 국산 메이커의 하이브리드는 그 장벽을 낮추고 하이브리가 가지는 장점을 널리 알린 시간이었습니다.


+ 승용디젤의 강자인 수입 메이커의 공격적인 디젤 모델 출시

승용디젤에 대한 국내 소비자를 충족시키는 메이커는 당연히! 수입 메이커가 독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국내 자동차 메이커보다 앞선 기술력으로 승용디젤시장의 개척하였고, 한때 하이브리드가 연비의 효율성을 최고로 이끌어 낸다고 말하고 있는 동안에도 묵묵히 승용디젤이 가지고 있는 파워와 효율성을 끌어 올려 마켓쉐어를 이끌고 있습니다.

승용디젤

그런 수입 메이커의 승용디젤은 2012년을 맞이하면서 라인업을 더욱 확대 적용하면서 프리미엄 승용디젤에서 엔트리 모델까지 확대 적용하여 접근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승용디젤

하이브리드가 한때 유행이었다면 승용디젤은 스테디셀러로 프리미엄에서 엔트리 모델까지 승용디젤을 선보이면서 국내 시장에 수입차 점유율을 더욱 높이는 2012년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승용디젤의 최고 가성비라고 할 수 있는 VW 골프와 BMW 520D에 이어 미니 쿠퍼 디젤, 아우디 A4 디젤, 시로코 R-라인, 볼보 S60 디젤, BMW 뉴 3시리즈 까지~


그동안 수입 승용디젤 모델을 구입하고 싶어도 부담되는 가격으로 인해 바라만 보아야 했던 수입 메이커가 이제는 브랜드의 프리미엄과 디젤의 토크, 연비의 효율성이라는 3가지 장점을 모두 만족시키며 잘나가는 경주마에 날개를 달아주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승용디젤

승용디젤이 가지는 장점은 디젤 엔진이 뿜어내는 저RPM에서의 강력한 토크로 드라이빙의 재미와 더불어 평균 15km/L이상의 연비 효율성으로 드라이빙의 메력과 더불어 가솔린에서 느끼지 못했던 고연비를 현실감있게 느낄 수 있는 마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전의 디젤 엔진하면 시끄러운 소음과 떨림, 부족한 파워와 연비로 인해서 상업용 차량에만 적용되던 때도 있었지만... 얼마의 시간이 흐른 지금의 승용디젤은 강력한 토크에서 뿜어나오는 파워와 고효율의 연비를 가지고 있으면서 안락한 승차감과 정숙성까지 갖춘 팔방미인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습니다.


승용디젤

여기에 준대형세단 위주로만 적용되던 승용디젤이 수입 메이커의 입문형 모델까지 확대되면서 파워는 더욱 강력해지고 연비의 효율성은 더욱 높아져 고유가 시대를 살아가는 지금의 현실에서 가솔린은 물론 하이브리드 모델까지 승용디젤이 가지는 장점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엔트리 모델로 확장된 승용디젤은 가격적인 부담으로 인해 국산차와 수입차의 경계성에 포지셔닝하고 있는 마켓쉐어에 대한 거부할 수 없는 유혹으로 빠져들지 않을 수 없는 매력으로 손짓을 하고 있습니다.


+ 현대차를 제외한 승용디젤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자동차 메이커....

승용디젤

수입차의 마력에 비해 국내 메이커의 승용디젤은 이렇다 할 모델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얼마전 출시한 i40의 경우 1.7 디젤엔진을 i40와 i40 살룬에 적용하고 승용디젤에 대한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현대차의 승용디젤은 이미 오래전 NF 소나타에서 선을 보이기도 했지만 실제 공도에서 찾아보기란 매우 어려웠고, 이후 1세대 i30 모델에 적용하고 2세대 i30 모델에서도 적용하고 있습니다.


승용디젤

이에 반해 쉐보레(한국지엠)는 크루즈(라세티 프리미어) 모델에 2.0 디젤엔진을 적용하였으나 보령미션으로 인해서 그 영양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여기에 쉐보레의 볼륨모델인 말리부 또한 가솔린 버전을 먼저 출시하고 승용디젤에 대한 출시 여부는 아직까지 정해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승용디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르노삼성의 경우 승용디젤 모델의 부재이고 SM5, SM7에 승용디젤이 적용될 것이라는 기대 또한 매우 미약한 것이 사실이며, 향후 승용디젤에 대한 기대 부분도 매우 미약한 현실을 직면하고 있습니다.


승용디젤

기아자동차는 현대차만큼은 아니지만 승용디젤 시장에 조금씩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는 메이커로 프라이드를 시작으로 신형 프라이드에도 승용디젤을 적용하여 소형차 승용디젤 모델에 주력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기술력이나 마케팅 등에서 디젤이 갖는 효율성은 그리 크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렇듯 국내 메이커의 승용디젤 시장에 대한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는 것은 현대차를 제외하고는 미약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지붕 두가족의 현대.기아차의 경우 브랜드의 인지도 만큼이나 막강한 자본력으로 승용디젤 시장에서 국내 메이커의 기술력을 이끌어가는 견인차 역활을 해야 할 것입니다.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의 경우 국내 출시 모델이 아닌 글로벌 시장에서의 승용디젤에 대한 라인업을 충분히 갖추고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지만, 경제 논리라는 부분에서 글로벌 시장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디젤 라인업을 국내 적용하는 것은 수입차를 수입하는 것과 같은 상황입니다.


승용디젤

즉 같은 그룹에 속하고는 있지만 외국공장에서 생산된 디젤엔진을 정식으로 관세를 내고 수입하는 과정으로 완성차의 가격 경쟁력이라는 부분에서도, 마켓쉐어 대비 마지노선을 지킬 수 있는 현실이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국내 승용디젤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수입 메이커의 현실을 안타깝게 바라보면서도 승용디젤 라인업을 구착하지 못하는 현실입니다.

국내 승용디젤 시장은 기술력의 발전과 함께 그 점유율이 더욱 높아질 것이고, 디젤이 가지고 있는 파워와 퍼포먼스, 연비의 효율성으로 젊은 층으로부터의 선택이 지속적으로 확대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현실적으로 국내 메이커가 수입 메이커의 승용디젤을 넘어서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지만.... 소극적인 자세로 대응하는 것이 아닌 투자의 개념으로 보다 적극적인 행보를 통해서 '국산품을 애용하자'라는 이미 오래된 인식을 버리고 깐깐하고 현명한 소비 행태에 대응하고 맞추어야 할 것 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