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une's Photo & Review3355

도심속 고궁 '경희궁' 사적 271호로 지정된 경희궁은 조선후기의 이궁이었다. 1617년(광해군 9)부터 짓기 시작하여 1623년(광해군 15)에 완성되었다. 경희궁이 들어서기 전 이곳에는 인조의 아버지인 정원군의 집이 있었는데, 이곳에 왕기가 서려있다는 이야기가 있어 그 터를 몰수하고 왕궁을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경희궁의 처음 명칭은 경덕궁(慶德宮)이었으나 원종의 시호인 ‘경덕(敬德)’과 같은 발음이라 하여 1760년(영조 36) 경희궁으로 바뀌었다. 경희궁은 도성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서궐(西闕)이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합하여 동궐(東闕)이라고 불렀던 것과 대비되는 별칭이다.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탄 후 대원군이 중건하기 전까지는 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이 법궁이 되었고, 서궐인 이곳 경희궁이 이궁.. 2008. 9. 3.
[추천도서] 블로거 임태훈님의 '스쿠터로 꿈꾸는 자유' 블로거 임태훈님의 '스쿠터로 꿈꾸는 자유' ** Link : 임태훈님 블로그, 교보문고, 알라딘, yes24 # 저자 소개 ‘일상 자체가 긴 여행과 같다’고 생각하는 그는 수원에서 태어나 IMF 직전까지 부족함 없이 자랐다. 외환위기와 경제침체로 그의 가정 역시 위기를 맞았는데 부모님의 연이은 사업실패로 인한 가정의 불화와 잦은 전학과 컴퓨터 게임에 빠져서 학교에 흥미를 못 느낀 그는 열여섯 살 때 학교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검정고시를 통해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을 마쳤다. 부모의 이혼과 자립하고 싶다는 생각에 혼자의 길을 걷게 되었고 스무 살이 되기 전까지 몸만 간신히 뉘일 수 있는 고시원에서 온갖 아르바이트를 하며 미래의 자신을 만들기 위해 버티고 있었다. 고마운 분의 도움으로 지방 전문대 중국어학과에.. 2008. 8. 31.
[당뇨병] 자가 혈당체크로 건강하게... [당뇨병] 이뇨작용의 조절을 담당하는 뇌하수체 후엽 및 간뇌의 장애로 인하여 체내에서 요구하는 양의 인슐린을 생성해내지 못하거나 생성된 인슐린이 세포에 제대로 작용하지 못해 체내로 들어온 당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혈당치가 높아지는 질병으로 혈액 속의 당이 소변에 포함되어 체외로 배출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증상은 다뇨, 다음, 다식이다. 일반적인 1일 소변량은 1.5ℓ이내이나, 당뇨병에 걸리면 3ℓ를 넘게 되어 다뇨로 인한 탈수와 고혈당으로 인한 혈액의 삼투압 상승으로 인하여 물을 많이 마시게 된다. 게다가 당의 이용률이 낮아지고 소변으로 당을 잃기 때문에 많이 먹게 되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야 할 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여 충분한 에너지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때문에 체내의 단백질을 에.. 2008. 8. 31.
미즈노 순페이의 두얼굴.... 지난 8월 30일 명랑히어로 방송을 통해 본 일본의 두얼굴..... 김구라는 30일 방송된 MBC '명랑히어로'(연출 김유곤)의 마지막 코너 '명랑히어로 어워즈'에서 일본인 미즈노를 후보로 추천하며 "저는 색다른 시각으로 우리를 불쾌하게 했던 안티 명랑히어로를 찾아가서 우리가 따끔하게 혼을 내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미즈노 순페이 전 전남대 교수는 친근한 외모에 구수한 전라도 사투리를 구사하며 한국을 사랑하는 외국인 출신 방송인으로 인기를 누렸으나 지난 2005년 일본 극우잡지에 한국을 비하하는 글을 기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파문을 남긴 채 일본으로 떠난 인물이다. 김구라는 미즈노를 후부로 추천한 이유에 대해 "이 분이 로버트 할리, 이다도시 등과 함께 한 때 방송가를 주름.. 2008.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