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 확인 해 본 말리부 디젤의 경쟁력은?
국내 중형 세단의 승용 디젤 경쟁의 신호탄이 솓아 올랐습니다. 따지고 보면 중형 세단의 디젤 엔진 라인업은 NF 쏘나타로 부터 시작됩니다. NF 소나타에 디젤 엔진이 있었어? 라고 반문 할 만큼...
NF 쏘나타 디젤 라인업은 출시와 함께 기억 속으로 사라지는 안타까움의 시간 속에서 유럽 수입 메이커의 디젤 엔진에 대한 투자와 기술력 강화 등의 노력을 거쳐 지금의 국내 승용 디젤 시장은 수입 메이커의 화려한 잔치를 국내 메이커는 지켜보고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연내에 국내 중형 디젤 세단의 경쟁이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말리부 디젤의 경쟁력은 무엇인지? 신차 발표회를 통해서 간략하게 나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말리부 디젤의 성능과 파워트레인
말리부 디젤의 파워 트레인은 오펠(Opel)의 파워트레인 공장에서 제작한 엔진으로 2014년 워즈오토 올해의 10대 엔진상의 수상한 GM 글로벌 파워트레인의 대표작으로 4기통 2L 디젤로 최고출력 156마력, 최대토크 38.8kg.m로 첨단 가변 터보차저를 적용했으며, 아이신 6단 자동변속기와 조합을 이루고 있습니다.
쉐보레 라인업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보령 미션의 다지르르 Gen II 변속기로 변경되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아이신 6단 자동변속기에 대한 신뢰도나 성능 등은 충분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 승용 디젤의 최대 강점인 연비 효율성은?
말리부 디젤 또한 폭스바겐의 파사트를 경쟁 모델로 지목했습니다. 신차가 출시되면 의례적으로, 특히 국내 자동차 메이커의 경우 수입 메이커를 경쟁 모델로 지목하는 것이 당연시 되고 있는 분위기 속에서~
쉐보레는 실질적인 연비 효율성에 대한 수치나 데이터는 폭스바겐 파사트가 아닌 현대 i40 디젤과의 비교를 통해서 말리부 디젤의 강점을 표현했습니다.
말리부 디젤의 복합 연비는 13.3 km/L로 수치상의 데이터로만 본다면 수입 메이커에 비해 아쉬운 것이 사실이지만, 가격 대비 효율성이라는 부분을 고려하면 '기본은 했다?' 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대 i40 살룬 디젤의 공인 연비가 15.1km/L, 파사트 14.6km/L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만큼 조금 아쉬운 것이 사실이지만, 15마력 높은 최고출력과 2.8~3.2kg.m 높은 최대토크를 고려한다면 연비의 효율성만이 아닌 드라이빙 퍼포먼스에 대한 만족도로 높이기 위한 타협점을 찾았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말리부 디젤의 가격 경쟁력은?
디젤 출시에서 가장 민감하고 관심이 가는 부분은 ' 차량 가격' 입니다. 디젤 엔진의 장점인 연비와 파워, 퍼포먼스를 누릴 수 있는 만큼 가솔린 대비 300~400만원 가격 상승 그리고 부분적인 옵션의 제외에 인식은 소비자 또한 충분한 경험을 통해서 인지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공개된 디젤 트림은 2,703만원의 LS 디럭스, 2,920만원의 LT 디럭스 2개 트림 중에서 선택 할 수 있으며 최상위 트림인 LTZ 트림은 제외 되었습니다.
여기에 파사트의 수입차 프리미엄을 제외한다면 직접 경쟁에서 품질, 운동 성능, 디자인 등을 고려한다면 '파사트 vs 말리부 선택' 어느 한쪽이 매우 우수하다고 장담 할 수 없는 결과블 보여주지 않을까? 합니다.
반응형
'Car & Motor Review > Trend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출시 앞둔 2015 벤츠 뉴 C클래스의 모든 것 (0) | 2014.04.04 |
---|---|
자동차의 본질 그리고 신형 쏘나타 (LF 쏘나타) (0) | 2014.03.25 |
LF 쏘나타 사전 계약과 함께 전면 실차 사진 유출 & 신형 쏘나타 가격 (0) | 2014.03.05 |
자동차 인포테이먼트 시장에 도전장을 낸 애플 iOS 카플레이, 애플 카플레이 탑재한 자동차 메이커는? (0) | 2014.03.03 |
제네시스 프라다, 단지 이름만 사라졌을 뿐... V8 420마력 2015 제네시스 (0) | 2014.02.12 |
댓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