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뉴 SM7 시승기 - 살릴 것과 버릴 것의 중간체
국내 준대형 세단의 강자인 그랜저HG에 이어 르노삼성의 플래그십 세단인 올 뉴 SM7을 시승했습니다. 그리고 K7 하이브리드에 바로 이어서 출시한 그랜저 하이브리드 또한 연이어 시승을 하면서 시장의 강자와 약자라고 불릴 수 있는 준대형 세단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는 경험을 했습니다.
- [시승기] 다시 쓰는 그랜저HG 시승기, 한국형 세단의 교과서
- [시승기] 다시 쓰는 그랜저HG 시승기, 한국형 세단의 교과서
국내 준대형 시장의 힘겨운 경쟁을 벌이고 있는 그랜저와 K7, 알페온, SM7은 가격과 성능, 수입 세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풀 체인지를 거친 2세대 올 뉴 SM7이 첫 선을 보인지 몇 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디자인과 스타일이라는 부분에서는 개인적으로 아쉬움이 상당히 남아 있습니다. 올 뉴 SM7의 여러 부분에서 타 브랜드의 모습이 비춰지기도 하고, 더 이상 뺄 것이 없을 정도의 심플한 디자인은 소비자의 선택에 있어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기도 합니다.
대형 세단을 연상시키거나? 아니면 아주 슬림한 디자인 중 좀 더 확실하게 스타일링을 완성 했더라면.... SM7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준대형 세단의 존재감을 좀 더 확실하게 표현을 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기어 노브를 사용하지 않고 스티어링에서 쉬프트 업과 다운을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적인 측면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 마치 스티어링에 두개의 뿔이 달린 것과 같은 패들쉬프트의 구성은 차라리 없는 것이 더 낳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은 시승을 하는 내내.... 사라지지 않습니다. 참고로 패들쉬프트는 최상위 3.5L 트림에만 적용됩니다.
3.5L 트림의 경우 스포츠 모드를 지원하고 있어 3,500cc 배기량의 고 RPM을 사용하여 스포츠 주행 못지 않은 가속 성능을 느낄 수 있으며, 고속에서 느껴지는 하체의 안정감은 르노삼성의 차체 강성에 대한 신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변속 타이밍이나 치고 나가는 부분에 있어서 세단의 초점을 맞춘 SM7이지만 엔진 출력의 퍼포먼스 성능은 충분히 그 능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나... 초반 엑셀의 유격이 생각보다 많아서 민첩하게 엔진의 파워를 지면에 전달하는데에는 단점으로 지적할 수 밖에 없는 셋팅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티어링의 반응과 직관성은 후한 점수를 주기에 충분한 모습입니다. 라이딩 & 핸들링에 초점을 맞춘 독일 프리미엄 세단에 비해서는 2% 부족한 것이 사실이지만, 국내 준대형 세단과 비교한다면 쉐보레 알페온 보다 좀 더 직관적이고 무직한 느낌한 핸들링의 매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랜저HG에 이어 올 뉴 SM7를 연이어 시승하면서 SM7의 핸들링은 오버스티어 성향인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핸들링에 있어서는 그랜저HG와 비교가 불가능 할 정도의 민첩함과 직관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그에 반해 시트의 구성이나 포지션은 엉망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라이딩 & 핸들링을 기준에 두었을 때 말이죠.... 고급 소재의 가죽 시트는 넓고 편안하면서 너무 푹신하지도 딱딱하지도 않아서 장시간 운전에도 피로감을 최소화하고 있지만.....
운전자를 잡아주는 안정감은 허리에서 부터 어깨까지~ 텅 비어 있는 느낌이 급격한 움직임에서 운전자를 그냥 내버려두는 착좌감을 보여주었고, 시트의 높은 포지션 또한 편안하고 안락한 세단이라기 보다는 SUV를 타고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이 전방의 시야 확보에서 장점으로 작용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차량 구성의 밸런스라는 점에서 엔진은 엔진대로~ 시트는 시트대로~ 따로 국밥의 형상의 보이고 있다는 점 입니다.
르노삼성의 플래그십 모델이면서 준대형 세단의 첨단 기능이나 화려함을 대신해 실용적인 기능과 기본기를 바탕으로 라이딩 & 핸들링을 만족시키는 르노삼성 준대형 세단만의 아이덴티티를 찾고자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그랜저HG, 기아 K7, 쉐보레 알페온과의 경쟁에서 올 뉴 SM7은 이렇다 할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넓은 실내 공간만큼이나 부족하지 않은 편의장비, 화려함 보다는 심플하면서 부족하지 않으면서 튀지 않은 준대형 세단을 선호하는 소비자라면 올 뉴 SM7이 보여주는 라이딩 & 핸들링은 부족함이나 시장에서의 경쟁에서 올 뉴 SM7만의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가고 있다는 점에서 큰 변화의 그래프를 대신해 지금까지 꾸준한 선택을 받고 있는 만큼은 충분히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끝으로 올 뉴 SM7의 시승기를 마무리 합니다.
반응형
'Car & Motor Review > Test Dri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교 시승] 그랜저HG vs 그랜저 하이브리드 중 선택이 고민된다면? (0) | 2014.01.20 |
---|---|
[시승기] 그랜저에 전기모터라는 조력자가 붙은 그랜저 하이브리드 시승기 (0) | 2014.01.15 |
[시승기] 다시 쓰는 그랜저HG 시승기, 한국형 세단의 교과서 (0) | 2014.01.09 |
[시승기] 신형 제네시스DH, HTRAC(AWD) 라이딩 & 핸들링에 대한 체감은? - 제네시스 DH 시승기 (1) | 2013.12.23 |
[시승기] 신형 제네시스DH, 독창성 대신 대중성을 선택한 제네시스 G380 HTRAC 시승기 (0) | 2013.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