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조 208 5도어 시승기 - 우리 푸조 208이 달라졌어요!~ 개선된 MCP, 새로운 인포테인먼트와 인테리어, 공간의 효율성은?
시트로엥 DS3에 이어서 푸조 뉴 208 (1.6 e-HDi)을 시승했습니다. 두 모델은 같지만 다른!~ 다르지만 같은!~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지만, 연이어 시승한 두 모델은 다른 체감을 보여주었는데...
두 모델의 차이점과 소비자의 선택에 있어서~ 어떤 대상에게 잘 어울리는지는 다음 포스팅에서 정리하기로 하고, F/L을 거쳐 출시한 푸조 뉴 208은 어떻게 달라졌는지?~ 어떤 매력을 가지고 있는지?...
+ 푸조 208과의 첫 조우는 개선된 MCP!!!
푸조, 시트로엥을 떠올리면 엔트리와 볼륨 모델에 탑재된 MCP(6단 변속기)가 먼저 떠오릅니다. MCP를 경험 해 본 사람이라면... 왜? MCP가 먼저 떠오르지? 를 금새 이해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푸조, 시트로엥에 탑재된 MCP(6단 변속기)는 6단 자동변속기이지만 수동 변속기를 기반한 형태로, 클러치가 없고 각 단수에 맞는 기어 레버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변속기입니다.
즉, 클러치가 없고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수동 변속기로 수동 변속기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Needs와 이를 사용하지 못하는 운전자가 많아지면서 개발된 변속기로 초기 대형 트럭에 적용된 것이 지금의 승용 모델에도 탑재된 형태입니다.
MCP의 장점은 대형 트럭에 먼저 선 보인만큼 높은 내구성과 정비의 용이성을 가지고 있고, 파워의 전달력이 좋아서 배기량 대비 우수한 가속성능과 연비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큰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 MCP(6단 변속기)는 푸조 뉴 208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습니다. 눈으로 보이는 부분에서는 말이죠.... 뉴 208의 MCP는 기존 MCP의 단점이 변속 타이밍과 변속 충격을 개선한 MCP를 탑재하였습니다.
기존 MCP의 변속 타이밍이 2/4박자라는 타이밍을 가지고 있었다면, 뉴 208의 MCP는 3/4박자의 타이밍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변속 타이밍의 딜레이 시간이 줄면서 변속이 빨라졌다는 점입니다. 특히 중저속 구간에서의 변속 타이밍은 시간을 물론 변속 충격 또한 개선해 6단 자동변속기와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는 점은 반기지 않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ps. 푸조 뉴 208 연비에 대해서는 별도로 자세히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HUD를 대신 할 HUC!!~
푸조 뉴 208은 새로운 인테리어 설계와 HUD를 대신 할 HUC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HUC는 헤드 업 클러스터 (Heda up Cluster)의 약자로 제조 원가가 높은 HUD(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대안으로 선택한 인터페이스입니다.
뉴 208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HUC(헤드 업 클러스터)는 한국의 디자이너의 아이디어와 설계로 완성되었다는 점 또한 눈여겨 볼 만한 부분입니다.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에서 활동하는 한국의 디자이너들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그들의 손에서 완성된 디자인이 더 많은 관심과 괄목할 만한 성과를 계속해서 보여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존 클러스터 정보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스티어링의 스포크 사이 공간으로 확인했어야 하지만, HUC는 스포크 사이의 공간이 아닌 스포크 위에서 클러스의 정보를 확인하여, 전방 시야을 놓치지 않고 차량의 모든 정보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의 익숙한 시간이 지나고 나면 HUC의 장점이 전방 시야를 놓치지 않고도 클러스터의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휠의 위치 또한 푸조 뉴 208이 핸들링과 주행 성능을 더욱 재미있게 만들어주는 요소로 작용됩니다. 다만, 허벅지가 경륜 선수나 씨름 선수 등과 같다면 시트와 스티어링 사이의 공간에서 조금 애를? 먹을 수도 있습니다 ^^
+ 작지만 큰 기쁨을 현실로 옮긴 공간의 효율성!!~
뉴 208은 3도어와 5도어 트림으로 1.4L 디젤과 1.6L 디젤의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208 모델은 컴팩트 해치백으로 차제 사이즈나 공간이라는 점에서 넓은 실내 공간을 기대하는 것은 금물인 것이 당연한 사실입니다.
그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노력으로 뉴 208의 2열 시트의 레그룸은 예상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푹신하지만 장거리 주행에도 피로감을 최소하하는 시트의 쿠션과 설계는 물론 1열 시트의 두께를 대폭 줄여서 2열 레그룸을 확보했습니다.
오히려 여타의 모델에서 뉴 208 1열 시트의 기술과 노하우를 따라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만큼 높은 만족도를 제공합니다. 소프트한 쿠션감이 장거리 주행에서 피로감을 더 하지는 않을까? 라는 예상이 들기도 했지만, 소프트한 쿠션감 속에 숨어있는 탄탄한 안정감과 운전자를 지지하는 견고함은 단시간이든... 장시간이든....
운전자에게~ 탑승자에게~ 실내 공간과 인테리어, 시트, 센터페시아 등은 오랫동안 차를 질리지 않고 탈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되고, 그만큼 중요한 구매 포인트입니다. 자칫 외관에 혹해 실내를 무시했다면... 차를 구매하고 얼마지나지 않아 다른 모델에게 시선을 빼앗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Car & Motor Review > Test Dri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조 208 시승기] 작다고 얕보면?! 잘 달리고 잘 서고, 기름값 걱정 없는 푸조 208 5도어 시승기, 폴로와의 경쟁에서는? (0) | 2013.05.06 |
---|---|
[시트로엥 DS5 시승기] 프렌치 프리미엄의 감성을 보여준 시트로엥 DS5 가격 & 시승기 (1) | 2013.05.03 |
[시승기] 시트로엥 DS3, 98마력이라고 무시했다가는?! (0) | 2013.04.19 |
트림에 대한 고민은 더이상!!! 6인승 싼타페 맥스크루즈가 '甲' - 싼타페 맥스크루즈 시승기 (1) | 2013.04.16 |
같지만 다른, 다르지만 같은 프렌치 감성을 담은 푸조 208 vs 시트로엥 DS3 시승기 예고 (0) | 2013.04.15 |
댓글